-
케이블 단락 시 기계적 강도
간선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에는 허용전압강하, 기계적 강도 등을 감안하여야 한다 단락 시 발생하는 전자력 및 기계력이 크기 때문에 반드시 사전에 검토되어야 한다
-
축전지 설비
축전지 설비는 예비전원설비에서 가장 신뢰성이 높고 환경성 때문에 사용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축전지 설비는 크게 연축전지와 알칼리 축전지로 나누어지는데 건축물의 특성과 부하의 특성에 맞게 선택하여 설계 및 시공이 되어야 할 것이다
-
특고압수전설비 결선도
특고압수전설비 단선결선도는 정식수전방식(제1방식, 제2방식, 제3방식)과 간이수전방식으로 구분한다
-
변압기 병렬운전 및 통합운전
변압기 병렬운전 및 통합운전 변압기의 병렬운전 1)목적 계통의 신뢰성 향상부하 증대 및 고장 시 공급능력 저하 방지 등 메인테넌스의 효율설1대 고장 시 점검 및 보수에 유리 2)병렬운전 조건 1차, 2차 정격전압(권수비)이 같아야 한다 전압차 Tab에 의해 무효 순환전류가 흐른다 다를 경우 과대한 순환전류에 의하여 출력이 감소하며 변압기가 소손될수 있다 단상에서는 극성이, 3상에서는 상회전 방향 및…
-
변압기 발주시 검토사항 및 시험
변압기 검토사항이란 변압기 기획설계가 완료된 후 시방서 작성에 관련된 사항을 검토하는 것이다 발주시 검토사항은 관리적 측면에서 관리할 사항과 기술적 특면에서 검토할 사항으로 분류된다 관리적 측면에서 검토할 사항은 예상 소요예산, 납기일자,변압기 지급방법(관급, 사급), 발주방법(수의 계약 최저입찰, 종합 입찰 등)이있다. 기술적 측면에서 검토사항은 설치조건, 적용규격, 상수 등 이있다.
-
보호계전기
전기설비의 보호란 전력설비의 이상상태 발생 및 파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단락 지락사고가 거의 대부분이고 발생한 사고를 신속히 검출 제거함으로써 설비의 파괴와 사고의 파급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복구를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각종보호계전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다.
-
3상단락전류 및 단락용량
3상단락전류 및 단락용량 다음 그림에서 송전선 F전에서의 3상단락전류 및 단락용량을 구하시오. (단, G1, G2는 각각 50[MVA], 22[kV],리액턴스 20[%], 변압기는 100[MVA], 22/154[kV],리액턴스 12[%], 송전선의 거리는 100[km]로 하고 선로 임피던스는 z=0+j0.6[Ω/km]이다) %Z법 기준용량 : 100[MVA] 전원측 변압기 선로 합성%임피던스 단락용량 단락전류 단위법(pu) 전원측 (기준용량 100[MVA]) 변압기 선로 합성%임피던스 단락용량 단락전류 Ω법 전원측 변압기 선로 전체임피던스 단락전류 단락용량
-
케이블의 절연과 열화
CV케이블은 운전 실적이 20년에 이르고 있으며. 이러한 CV케이블을 지중에 설치한 한후 6~8년이 경과하면 수트리라고 하는 열화 현상이 발생한다 케이블 내부의 수분이 생성 잔존 침입상태에서 장기간 사용하면 절연체 내에 수트리현상이 발생하여 절연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
수변전설비의 단락용량 경감대책
수변전설비의 계획 시(설계 시) 단락용량보다 실제 운용 시 단락용량이 증가하는 경우 기존 차단기의 차단용량이 부족하게 되고 사고 시 사고점의 파괴는 물론 2차적인 재해를 유발할 수 있다
-
변압기의 보호방식
주전변압기는 자가용 수전설비의 가장 중요한 전기기기이며 그 고장은 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의 정지로 조업이 중단되어 경제적 손실이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