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장소의 전기설비의 시설
의료장소의 구분 (의료용 전기기기의 장착부의 사용방법에 따라 구분) 일반병실, 진찰실, 검사실, 처치실, 재활치료실 등 장착부를 사용하지 않는 의료장소 : 0그룹 분만실, MRI실, X선 검사실, 회복실, 구급처치실, 인공투석실, 내시경실 등 장착부를 환자의 신체외부 또는 심장부위를 제외한 환자의 신체내부에 삽입시켜 사용하는 의료장소 : 1그룹 관상동맥질환 처치실(심장카테터실), 심혈관조영실, 중환자실(집중치료실), 마취실, 수술실, 회복실 등 장착부를 환자의 심장 부위에 삽입시켜…
-
약전용 접지
건물이 대형, 복잡, 첨단화되면서 정보화 설비가 도입되고 약전계통에 노이즈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파급효과 커져 큰 문제를 야기시킨다 약전접지의 정의 : 회로의 기능 유지 약전접지의 분류 기준전위 확보접지 : 1점접지 장애제거용 접지 : 노이즈 방지 접지 위험방지 접지 약전접지의 종류 1)기준 전위 확보 시스템을 안정시키기 위한 접지 컴퓨터, 전자기기 등의 기준전위 확보 2)전도성 노이즈 방법 접지…
-
병원 접지시스템
최근 ME기기들의 급속한 증가로 ME기기의 접지에 대한 철저한 대책이 요구된다 의료설비는 일반전기설비와 달리 누설전류가 0.1[mA]이하인 값으로 접지방법과 개소 선정이 제한되어야 한다
-
매크로쇼크 및 마이크로 쇼크
병원에서의 접지는 일반 건물의 접지와 미소한 전류에 흐름에도 위험할 수 있어 접지방법과 개소 선정 등에 더 많은 부분을 감안하여 설계한다 특히 0.1[mA]의 매크로 쇼크와 10[μA]의 마이크로 쇼크에 대한 대책까지 검토하여야 병원에서 어느 정도 설계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허용접촉전압과 허용 보폭전압의 식과 산출근거
허용접촉전압과 허용 보폭전압의 식과 산출근거 50[kg]기준 허용 접촉전압, 보폭전압 70[kg]기준 허용 접촉전압, 보폭전압
-
접촉전압과 보폭전압
접지설계는 토양특성을 검토하고 최대 고장전류를 결정하여 그것에 따른 소요 접지저항치를 결정, 접지반식을 선택한 다른 전위경도를 검토하고 인근 설비와의 검토 및 대책을 세워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접지를 설계한다 고장전류에 대한 인체에 접촉 및 보폭에 의한 접촉 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는 장이다.
-
통합 공통접지방식
통합 공통접지방식 HTTP://FTZ.KR/2021/02/4222/ 정의 1)공통접지 등전위가 형성되도록 고압 및 특고압 접지계통과 저압 접지계통을 공통으로 접지하는 방식 2)통합접지 전기, 통신, 피뢰설비 등 모든 접지를 통합하여 접지하는 방식을 말하며, 건물 내의 사람이 접촉할 수 있는 모든 도전부가 등전위를 형성하여야 함 접지저항값 공사계획신고 설계도서(전지계산서 및 설계도)의 접지저항 값이 다음 중 어느 나라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공통 통합 접지저항값으로 인정…
-
접지선 접지봉
HTTP://FTZ.KR/2021/02/4226/ 접지선 1)선정 시 고려사항 전류용량, 기계적강도, 내구성, 계통접지와 공용접지하는 경우 전원측 차단기 협조단락전류 통전 시 열축적, 접지선의 온도상승 2)접지선 굵기 산정방법 국내 산정방법 온도상승 및 전류에 의한 접지선 굵기(내선규정) 나동선의 굵기 산정 IV전선 피뢰기 접지선 접지공사에 따른 접지선의 굵기 구분 접지선의 굵기 제1종 접지공사 6[㎟]이상 제2종 접지공사 16[㎟]이상(고압 및 특고압 가동전선과의 전로와저압전료를 변압기에 의해…
-
서지 침입 시 접지극의 과도현상과 대책
주파수에 따른 접지극 특성 1)상용주파 영역 단순한 저항으로 해석 2)고주파 영역 리액턴스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임피던스로 해석 3)접지 임피던스 접지 임피던스는 접지극의 형상, 포설방식, 포설면적 등에 따라 달라진다 접지 임피던스는 서지의 전류파형 및 대지저항률에 따라 달라진다 서지 침입 시 접지극의 특성 1)서지파형의 특성 서지 침입시 대지전위는 수[μs]동안 급격히 증가 후 서서히 감소 dv/dt, di/dt가 상승…
-
등전위 본딩
등전위 본딩이란 건축물 내의 각종 도전성 부분 간을 접속하여 건축물을 하나의 등전위로함으로써 전위차에 의해 발생될수 있는 전기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