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동기의 효율적 운용방안 및 제어방식
건축전기설비 계통에서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큰 부분은 동력설비 계통으로, 전동기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한 에너지 절약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전동기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제어방식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동기의 효율적인 운용 1)고효율 전동기의 채용 부하가 일정하고 연간 5,000시간(1일 14시간정도 사용) 이상 사용할 때 적용하면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철손의 저감 대책철심재료의 고품질화, 철심두께의 적정화로 철손저감 동손의 저감…
-
전동기 제동법과 역전법
전동기 제동법과 역전법 전동기나 부하의 플라이 휠효과로 인하여 전동기의 전원을 차단해도 회전체에 축적된 운동에너지가 마찰등 손실로 흡수될 때까지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기동 및 운전, 정지가 빈번한 경우 작업 능률 향상을 위해 전동기의 제동이 필요하다 전동기의 제동은 부하 측에서의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운전하는 상태를 말한다 제동방법 선정 시 고려사항 전기적 제동방법은 기계적 마찰은 없으나 감속에 따라 제동력이…
-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 유도전동기 속도제어 관련식 1)농형 유도전동기 2)권선형 유도전동기 R(외부 2차 저항)을 증가시키면 s'(슬립)가 증가하고, τ(토크)를 증가시켜 기동한다. R(외부 2차 저항)을 감소시키면 s'(슬립)가 감소하고, 점차 토크가 감소하게 되어 N(속도)을 증가시켜 정격속도에 도달할 수 있다 농형 유도전동기 속도제어 방식 1)1차 전압제어 원리 슬립이 일정한 경우 τ∝V²가 된다 V₁에서 V₂로 전압을 낮추면, N₁에서 N₂로 속도가 감소한다 특징…
-
동기기의 이상현상
자기여자 현상 1)정의 무부하로 운전하는동기 발전기를 장거리 송전선로 등에 접속한 경우 선로의 충전용량(진상전류)에 의한 전기자 반작용(증가작용)이나 무부하 동기 발전기의 잔류자기로 인하여 송전선로에 충전전류가 흐르게 된다 미소 전압 발생 시 송전선로의 정전 용량 때문에 흐르는 진상전류에 의해 발전기가 스스로 여자되어 전압이 상승하는 현상 2)발생원인 정전용량에 의한 진상전류 3)방지대책 동기조상기 설치 분로리액터 설치 발전기 및 변압기의 병렬…
-
유도전동기2
유도전동기2 유도전동기는 기동전류가 크고 역률이 낮은 단점이 있으나 구조가 간단하고 운전이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가장 많이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유도전동기의 특성을 아아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농형 유도전동기 구성 및 원리 1)구성 고정자 : 전기자 권선이 감겨져 회전자계를 인가한다 회전자 : 회전자계가 회전자의 쇄교하면, 아라고 원판의 원리에 의해 화살표 방향과 같이 맴돌이 전류가…
-
유도전동기1
유도전동기1 유도전동기는 기동전류가 크고 역률이 낮은 단점이 있으나 구조가 간단하고 운전이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가장 많이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유도전동기의 특성을 아아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유도전동기의 원리 및 운전 1)회전원리(아라고 원판) 2)회전 자기장의 발생 단상유도전동기 구조 조겅자와 회전자(1조 구성) 원리 고정자 권선에 전류를 흘림->교번자계발생->기동장치에 의한 회전 3상 유도전동기 구조 고정자와 회전자(3조 구성)…
-
동기전동기
동기전동기 동기 전동기의 특징 장점 속도가 일정하다 역률조정 가능하고 역률100%에서 운전 효율이 우수하다 기계적으로 튼튼하다 단점 기동토크가 작다 속도제어 어렵다 직류여자기가 필요하여 설비가 복잡하다 난조가 일어나기 쉽다 고가이다 동기전동기 기동방법 1)제동권선을 이용하여 유도전동기로 기동하는방법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고정자 권선에 3상 전압을 인가하여 제동권선이 유도전동기의 2차 도체 역할을 한다 직류여자회로는 개방한다 2)3상 기동권선을 사용하는 방법…
-
동기발전기 병렬운전조건 및 병렬운전순서
동기발전기 병렬운전조건 및 병렬운전순서 병렬운전이란 2대 이상의 발전기를 동일 모선에 접속하여 공통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을 말한다 병렬운전의 목적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부하에 정전없이 정격의 전압을 안정하게 공급하기 위함이나 현실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사용한다 발전기 1대의 용량으로 부족한 경우 부하의 변동이 심한 경우 부하의 증감에 따라 예비가 필요한 경우 발전기의 무리한 운전을 피하고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
동기발전기
동기발전기 동기 발전기의 원리 및 구조 1)동기기의 구조 고정자 : 3상의 계자권선이 감겨있다 회전자 : 여자코일에 의해 전자석이 된다 슬립링 : 여자코일에 직류전압을 가해 주는 장치 정류기 : 교류에서 직류를 변환하는 장치 2)동기속도 회전자가 여자되어 회전 시 고정자에 전압을 유기하여 발전한다 동기속도 : 3)동기기 출력 및 동기화 조건 V : 단자전압, E : 역기전력, X…
-
BLDC모터
BLDC모터 DC모터는 제어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브러시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다 BLDC는 DC모터에서 브러시를 없애 효율을 향상시킨 모터이다. BLDC구성 및 원리 1)코어 3쌍의 코일 뭉치로 구성되며 연속적인 회전을 위해서 120 위상차를 두고 전류가 흐른다. 인버터(PWM방식)에 의해 전류를 흘려 주어 회전자(캔)를 회전시킨다. 2)캔 영구자석을 사용함으로써 전류를 흘릴 필요가 없어 효율이 향상된다. 3)인버터(PWM방식) 주파수를 변조하여 속도를 조정한다. 순차적으로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