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 한류기
초전도 한류기 구성

초전도 한류기 동작
- 0.1[ms]내에 감지하여 수[ms]이내에 사고전류를 제한
- 영하196[C°]에서 손실없이 전류가 흐름
- 초전도소자의 임계전류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초전도 성질을 잃어(Quench)임피던스가 발생하여 사고전류 제한
초전도 한류기 특징
- 선로에 손실 없음
- 1/4사이클 이내에 사고전류를 제한하여 피해를 최소화함
- 0.5초 이내에 다시 초전도 상태로 복귀함
- 기존의 기기 교체 없이도 적용이 가능함
- 한류효과가 우수하나 초전도소자가 이상전압에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있음
초전도 한류기 종류
1) 저항형
- 초전도고체에 고장전류가 흐를때 초전도성을 잃어 저항이 발생하는 성질은 이용
- 전류가 과도하게 흘러 일정한 값(임계전류)을 넘으면 초전도성을 잃어 저항이 급속하게 발생
2) 포화철심
- 각각 AC코일을 감아 선로에 연결하고 반대쪽을 DC코일로 감아 DC회로에 연결해 구성
- 상시 : DC 코일에 전류를 인가해 철심이 포화(전류가 잘 흐름)
- 고장시 : 철심의 포화를 풀어 AC코일의 임피던스가 커져 전류를 제한
3) 자기차폐형
- 철심의 1차측에 AC코일, 2차측에 초전도체 설치
- 상시 : 2차측 초전도체에 흐르는 전류가 적어 초전도 상태를 유지하면서 철심의 자기장이 Zero가 되므로 1차측 코일의 임피던스가 거의 없음
- 고장시 : 고장전류가 흐르면 초전도체가 초전도성을 잃어 철심 자기장에 의해 임피던스 발생

적용
현재 이천 변전소에서 운영중(22.9[kV]/630[A]급)
★제어및 보호방식결정
단락전류 기본이론
IEC단락전류 계산방법
단락전류를 구하는 FLOW
수변전설비의 단락용량 경감대책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A점과 B점의 단락전류 계산
다음그림에서 송전선 F전에서의 3상단락전류 및 단락용량을 구하시오
전동기의 과도 리액턴스에 대한 MF를 고려하여 단락전류를 계산하시오
배전계통 분산전원 연계 시 고장점의 단락용량을 계산하시오
예제 3상단락전류 및 단락용량
A029
2선 단락고장과 3상 단락사고의 비 계산
1선 지락전류 유도
수변전 회로의 보호방식
변압기의 보호방식
DCR(DIFFERENTCURRENTRELAY)의 오동작 방지대책
비율차동계전기 비율탭 정정
보호계전기
복합계전기
저압회로의 보호방식
저압차단기의 보호협조
저압회로의 단락보호
저압회로의 지락보호방식
GPT 적용 시 CLR의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