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압회로의 보호방식
최근 건축물 설비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저압계통의 용량도 계속 높아지고 있어 고장시 파급효과가 대단히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저압회로는 회로수도 많은데 경제성을 생각할 때 지나치게 뱅크용량을 키우면 2차 측 단락용량도 증가하게 되어 또다른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보호방식을 고려하여 적정용량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저압 배선로 보호의 개념

저압배선로 보호방식
- 과부하보호, 단락
- 선택차단방식
한시차 보호방식에 의한 고장회로 선택 차단
공급신뢰도가 높은 방식 - Cascad방식
주회로 차단기로 후비보호하는 방식
단락전류가 10[kA] 이상에 적용 - 전정격 차단방식
각 차단점에 단락용량에 응하는 차단기를 적용하여 후비보호하는 방식
경제성이 떨어짐
- 선택차단방식
- 지락
계통별 접지 방식 구성 차이로 일괄 보호방식 적용이 곤란
선택차단방식 적용
저압배전선로의 단락보호
- ACB http://ftz.kr/2021/02/3474/
- 과전류, 단락전류, 지락전류 보호 가능하나 순시보호 뒤짐
- 최근 순시요소부 제품 공급으로 후비보호 가능
- MCCB
- 과전류 단락 보호가능
- 순시보호부+한시요소부를 몰드 Case에 내장
- 퓨즈 http://ftz.kr/2021/02/3481/
- 한류 특성과 용단특성을 이용한 단락 보호
- 전자개폐기
- 부하의 빈번한 개폐및 과부하 보호용
- 전자접촉기와 열동계전기 또는 EOCR조합 시도
- 기타
- 과전류차단기
★제어및 보호방식결정
단락전류 기본이론
IEC단락전류 계산방법
단락전류를 구하는 FLOW
수변전설비의 단락용량 경감대책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A점과 B점의 단락전류 계산
다음그림에서 송전선 F전에서의 3상단락전류 및 단락용량을 구하시오
전동기의 과도 리액턴스에 대한 MF를 고려하여 단락전류를 계산하시오
배전계통 분산전원 연계 시 고장점의 단락용량을 계산하시오
예제 3상단락전류 및 단락용량
A029
2선 단락고장과 3상 단락사고의 비 계산
1선 지락전류 유도
수변전 회로의 보호방식
변압기의 보호방식
DCR(DIFFERENTCURRENTRELAY)의 오동작 방지대책
비율차동계전기 비율탭 정정
보호계전기
복합계전기
저압회로의 보호방식
저압차단기의 보호협조
저압회로의 단락보호
저압회로의 지락보호방식
GPT 적용 시 CLR의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