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전동기2


유도전동기2

유도전동기는 기동전류가 크고 역률이 낮은 단점이 있으나 구조가 간단하고 운전이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장 많이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유도전동기의 특성을 아아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농형 유도전동기 구성 및 원리

1)구성

  • 고정자 : 전기자 권선이 감겨져 회전자계를 인가한다
  • 회전자 : 회전자계가 회전자의 쇄교하면, 아라고 원판의 원리에 의해 화살표 방향과 같이 맴돌이 전류가 흘러 토크를 방생시킨다.

2)아라고 원판 원리

  • 그림과 같이 자석을 회전시킬 댸
  • 자속이 도체를 통과하고
  • 도체에 기전력 발생한다
  • 원판에는 와전류(소용돌이 전류)가 발생하고
  • 와전류와 자속의 상호 작용(플래밍의 왼손법칙) 때문에
  • 회전방향으로 도체(동판)가 회전(회전 자계)하게 된다
  • 동판은 자석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한다(자속이 도체를 통과하지 않으면 유도기전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3)유도전동기 속도

  • 유도전동기 속도
\[N=\frac{120f}{P}(1−s)[rpm]\]
  • 슬립
\[s=\frac{N_s−N}{N_s}\]

  • 유도전동기는 고정자에 흐르는 전류와 회전자가 쇄교해야 하므로 슬립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고 동기속도보다 늦게 된다.

4)유도전동기의 특성 곡선

  • 시동 시 토크가 작다
  • 전동기 속도는 부하토크와 모터발생토크의 일치점에 회전한

5)유도기의 토크 곡선

회전자계

1)단상유도전동기

  • 구조
    조정자와 회전자(1조 구성)
  • 원리
    고정자 권선에 전류를 흘림->교번자계발생->기동장치에 의한 회전

2)3상 유도전동기

  • 3상 유도전동기 회전자계
    • 구조
      • 고정자와 회전자(3조 구성)
    • 원리
      • 고정자 권선에 전류를 흘림->회전자계 발생->회전자계에 의한 회전
  • 회전자계 원리
  • 1상의 전류를 1[A]라 하면, 1[A]가 만드는 자속이 1[AT]이 되고 1상의 자속이 1[H]가 되어 , 1.5[H]의 회전자계가 발생한다
  • 벡터도

전동기의 종류와 원리

직류전동기의 원리와 특성 속도제어방식
BLDC모터
동기발전기
동기발전기 병렬운전조건 및 병렬운전순서
동기전동기
동기기의 이상현상
유도전동기1
유도전동기2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