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직접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이다
\[H_2+\frac{1}{2}O_2\to H_2O + 전기\]
생성물이 전기와 순수인 발전효율이 30~40%, 열효율 40% 이상으로 총70~80%의 효율을 갖는 신기술이다.
연료전지 발전원리
1)전지원리

- 연료 중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가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직접 발전하는 방식이다
- 연료극에 공급된 수소는 ㄱ 수소이온과 전자불니-> ㄴ 수소이온은 전해질 층을 통해 공기극으로 이동하고 전자는 외부회로를 통해 공기극으로 이동->ㄷ 공기극쪽에서 산소이온과 수소이온이 만나 반응생성물을 생성=>최종적인 반은은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전기, 물 및 열이 생성된다.
2)System구성

- 개질기
천연가스 등에서 수소를 걸러내는 장비
- 연료전지
수소와 산소를 결합시켜 물과 열을 만들어내고 열을 전기에너지로 만들어 내는 설비
- 인버터
직류 부하에서 사용하는 교류로 바꾸어 내는 설비
종류

특징
1)장점
- 부하의 응답성이 높다
-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다
- 송전손실이 낮다
- 환경오염이 적다
-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 입지의 제약이 적다
2)단점
- 발전소 건설비용이 높다
기존 화력발전소는 []당 1,200[]소요되나, 연료전지는 3,000[]이상 필요 - 연료전지의 수명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연구 개발 필요
향후전망
- 가정용 : 수~수십[]정도, 도시가스 이용 전력과 열 생산
- 호텔, 병원 등 : 수십~수천[]정도, 열원 이용 발전효율 증대 및 Peak-Cut
- 분산형 전원 : 수천~수만[]정도, 수용가 인근에 설치하여 전력비 절감
- 화력발전 대체용 : 수백[]이상 규모로 석탄의 친환경 이용 및 첨주부하 제어용으로 적용
- 기타 : 자동차 동력원, 이동용 전원 등에 이용
★신재생에너지 설비
신에너지
신재생에너지의 개념 및 종류
연료전지
재생에너지
태양광설비1
태양광설비2
태양전지모듈 선정시 고려사항
태양광발전설비 설계
태양광 발전 파워컨디셔너
풍력에너지
건축물 구내 및 옥상 등에 설치한 풍력발전설비
풍력발전시스템의 낙뢰 피해와 피뢰대책
풍력발전설비의 검사사항
해양에너지 발전
에너지 하베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