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에서의 명시론은 심리, 시각, 생리적인 부분이 중요하다. 따라서 조염의 선택은 편안하고 안락한 시간에 기초하므로 눈의 피로부분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명시론의 주요한 항목은 물체의 보임, 눈부시, 밝음의 분포가 있다
명시론의 주요 항목
1)물체의 보임
- 밝음
빛이 있으면 물체가 잘 보이고, 빛이 없으면 물체가 잘 보이지 않으므로 적당한 도도가 확보되어야 물체를 잘 볼 수 있다 - 물체의 크기
조도가 확보되어 빛이 있더라도 크기가 너무 작으면 보이지 않는다 - 대비
빛이 있고 물체의 크기가 있더라도 배경의 밝음과 보려는 물체의 밝음의 비가 차이가 나지 않으면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다. - 시간
밝음, 크기, 대비가 충분하다 해도 물체가 너무 빠른 속도로 움직인다면 눈으로 볼 수 없다
2)눈부심
- 정의
시야 내의 어떠한 고휘도 물체로 인해 고통, 불쾌, 눈의 피로나 시력의 일시적 감퇴를 초래하는 현상을 말한다 - 원인
- 고휘도 광원 : 고회도 광원에 의한 눈부심으로 보려고 하는 물체의 문제 야기
- 반사및 투과면
- 순응의 결핍
- 눈에 입사하는 광속의 과다
- 시선 부근에 노출된 광원
- 물체와 그 주위 사이의 고후도 대비
- 눈부심을 주는 광원을 오랫동안 주시할때
- 눈부심의 종류
- 감능 글레어
- 불쾌 글레어
- 직시 글레어
- 반사 글레어
3)밝음의 분포
- 시야 내가 고르게 밝으면 눈의 피로가 발생하지 않으나, 고르지 않으면 정도의 차이에 따라 눈부심과 눈의 피로, 권태가 일어난다.
- 작업대상물의 광속발산도
실내를 기준으로 최대 광속발산도는 3배 이하로 최소 광속발산도는 1/3 이상을 허용한다
★조명설비의 이론
조명의 용어
명시론
연색성,색온도, 시감도, 순응, 균제도
편한 시각의 평가
좋은 조명의 요건
눈부심
눈부심의 평가방법
열방사 3가지 법칙
원소의 주기율표
루미네선스
방전등의 발광메커니즘과 방전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