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변전설비 설계시 환경대책


수변전설비 설계시 환경대책
(전기품질 관점)*

수변전설비에서 소음, 진동,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해, 고조파에 의한 장해, 코로나에 의한 소음 및 전파장해, 절연유의 누출에 의한 대지 오염, 미관 및 풍경 훼손 등이 발생한다

1) 소음에 대한 대책

  • 저소음 변압기를 사용한다
  • 소음이 많이 나는 공기 차단기(ABB)보다는, GCB, VCB를 사용함으로써 차단음을 감소시킨다
  • 큐비클 등으로 방음처리를 한다
  • 건축구조상 방음조치를 취한다

2) 진동에 대한 대책

  • 방진고무, 방진스프링, 방진매트 등을 사용하여 진동이 건물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 저진동기기를 사용한다

3)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해에 대한 대책
(정전유도 및 전자유도)

  • 통신선과 전력선과의 이격거리를 크게 한다
  • 지락전류를 작게 하거나 지락사고 시에 신속히 차단하도록 한다
  • 전력선과 통신선의 교차는 직각으로 한다
  • 부하의 평형을 유지하여 중성점의 발생전압을 작게 한다
  • 전선로의 연가를 충분히 한다
  • 전선을 Cable화 한다

4) 고조파 장해에 대한 대책

  • 변압기를 Δ결선하여 3고조파의 유출을 방지한다
  • 선로에서 코로나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전력용 콘덴서의 사용을 억제한다
  • 인버터, 컨버터 등 전력변환기기의 Pulse수를 크게한다.
    즉, 3상(6펄스)보다는 6상(12펄스) 또는 12상(24펄스)으로 기기를 제작한다
  • 변환기기에서 발생한 고조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동조필터, 고차수 필터, Active Filter등을 사용하여 고조파를 제거한다.

5) 코로나에 의한 소음 및 전파장해에 대한 대책

  • 코로나 임계전압을 높여서 코로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 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 복도체 또는 다도체를 사용한다
  • 선간거리를 크게 한다

6) 절연유의 누출에 의한 대지 오염에 대한 대책

  • 유입식 변압기보다는 건식 또는 몰드변압기를 사용한다
  • 유입식 전기기기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패드위에 OilPan을 설치하여 만일의 경우 절연유가 누출되더라도 대지에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7) 미관 및 풍경 회손에 대한 대책

  • 지중전선로로 설계한다
  • 지상 변전소보다는 지하변전소로 설치한다.
  • 산에 설치하는 철탑 등은 산의 7~8부 능선에 설치하며 녹색으로 도색한다
  • 개방형 수전설비보다 큐비클형 또는 Metal Clad Switch Gear 및 GasInsulated Switch Gear 등을 사용한다

8) 재해 파급의 방지

  • 변전실에서 화재, 폭발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화재가 인근 건물로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 변전실의 벽은 내화벽, 방화벽으로 설계한다
  • 변전실 문은 갑종 또는 을종 방화문으로 설치한다

수변전설비의 계획
수변전설비의 계획 시 고려사항
수변전설비의 최신기술 동향
정전대책및 전원설비의 신뢰성향상대책
전기 설비의 종류와 건축전기설비의 기능별 분류
수변전설비 설계시 환경대책(전기품질 관점)
수변전설비의 환경대책(주위환경 관점)
변전실의 고려사항
발전기실의 고려사항
축전실의 고려사항
es(전기샤프트)실의 고려사항
중앙감시실,구내통신실의 고려사항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